인버터(Inverter)란 ?
인버터의 사용 목적
인버터는 사전적 의미는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이나,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인버터의 의미는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해 인버터를 통해 전압/주파수 등을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통해 전동기(모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돕는 장치 입니다.
예를 들어, 100RPM 을 돌 수 있는 모터가 있다고 가정하면 인버터 없이는 전원의 ON/OFF를 통해서밖에 제어 할 수 밖에 없고, 그렇다면 이 모터는 ON일때 100RPM, OFF일때 0RPM 으로 밖에 돌지 못하겠지만 인버터를 사용하면 10RPM, 20RPM, 50RPM 등 가변적으로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품질/생산성 향상등을 들 수 있습니다.
드라이브(인버터)의 사용목적에 따른 종류
일반적으로 산업계에서 사용하는 인버터는 유도전동기, 동기전동기를 운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인버터 회로 구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 할 수 있으나, 현재 통상적으로 PWM 제어 방식을 일컫는다 생각하면 된다.
구분 | 특성 | |
전류형 | 정류부에서 전류를 가변하여 평활용 Reactor로 일정 | |
전압형 | PAM | 정류부에서 DC전압을 가변하여 콘덴서로 평활전압을 만들어 인버터로 주파수를 가변함 |
PWM | 정류부에서 DC전압을 만들고 인버터로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가변함 |
인버터의 내부 구성
인버터는 정류부, 평활부, 인버터부로 이루어져 있다.
1. 정류부(Rectifier circuit)
전파 정류회로라 불리는데, 간단히 말해 다이오드는 단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데 이러한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AC전압의 +,- 를 + 전압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2. 평활부
콘덴서 (Capacitor)는 충방전을 하는 수동소자로, 정류된 +전압을 평평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3. 인버터부
각 IGBT 소자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순차적으로 IGBT 소자를 ON/OFF 시키고 그렇게 도통된 전압은 모터의 각 극으로가 자석이 되고, 내부의 로터는 자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위의 순서를 IGBT를 통해 얼마나 빨리 스위칭 시켜주냐에 따라 모터의 속도가 결정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