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ice

[#3 Encoder] 엔코더 분해능

phoony 2022. 12. 2. 08:3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Decoding 된 Encoder의 Pulse를 어떻게 받아서 처리 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트 [#2 Encoder] Encoder의 신호처리 - 1 에서 실제 회전된 모터의 횟수가 어떤식으로 Counting 되는지
알아 봤는데요, 결국 출력되는 값은 Pulse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출력된 Pulse 값을 MCU의 Input port로 받아 처리 하던지, PLC의 경우 High speed count module
에 입력 신호로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겠죠.

신호처리를 하기에 앞서 먼저 X1, X2, X4 엔코더에서 출력된 신호가 어떻게, 몇번의 카운터로 입력될 것인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1.1 분해능 (Resolution)
- 분해능이란, 일반적으로 해상도, 정밀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터의 Encoder의 경우 회전운동을 하는 장치니까 1회전 했을때 몇개의 Pulse를 입력으로 받을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원운동은 360º 회전 운동을 합니다. 만약 엔코더가 600pulse 타입의 엔코더를 선정하시면 1바퀴 회전할때 총 600pulse를 출력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결국 1pulse 당 0.6º 가 움직인다는걸 알수 있겠죠?



만약 X2 엔코더라면 1200pulse : 360º, X4 엔코더라면 2400 pulse : 360º 으로 더 높은 Decoding type으로 더 세밀한 출력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