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에 대해 (Lithium-Ion Battery Cell production process)

phoony 2022. 12. 6. 13:01
728x90
반응형
반응형

세계적인 탄소배출 감축 추세에 맞춰 자동차 시장도 기존의 내연기관에서 EV 자동차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심장이 엔진이었다면 EV 자동차의 심장은 아무래도 배터리라고 있겠죠. 결국 작은 크기로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것이 현재 배터리시장의 목표이고, 이와 더불어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배터리 제조사가 당면한 과제라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현재 EV 자동차 시장에서 주력으로 생각하는 리튬-이온 (Lithium- ION) 배터리 제조 공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배터리 제조 공정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공정은 크게 전극제조, 조립, 마무리 3가지 메인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전극제조 공정과, 마무리 공정은 배터리 타입과 거의 무관하지만, 조립 공정은 파우치, 원통형, 각형 전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유형에 관계없이 리튬-이온 배터리는 두개의 전극과 전극, 개의 전극을 서로 분리하는 분리막(Separator) 구성되고, 이온 전도성 전해질은 전극의 기공과 내부의 나머지 공간을 채웁니다. 또한 최근 배터리 제조 기술 개발은 소재와 비용을 줄이고, 높은 성능을 내는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링크 : 2022.11.28 - [Trend] - 나는 왜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지 않는가 ?

 

나는 왜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지 않는가 ?

요즘의 저는 5년된 디젤 SUV를 처분하고 차량 교체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세상이 급변하는 시기인 지금 과연 어떤차를 선택할지 정말 고민이 되고 있는데요. 유럽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가솔

phoonyresearchnote.tistory.com

 

 

 

배터리 제조 세부 공정

배터리 제조 시에는 여러 단계의 제조 과정을 거쳐 최종 배터리가 생상되게 되는데요, 위에서 언급한 제조공정에서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세부 공정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 전극제조 공정 (Electrode manufacturing)

  • 셀 조립 공정(Cell Assembly)

  • 셀 마무리 공정(Cell Finishing)

 

 

공정에서의 세부 공정 해서 알아볼텐데요, 세부 공정에서의 역활과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하는지에 대해서 앞으로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포스팅은 독일 기계 공학 산업 협회에서 제공하는 자료에서 발췌하여 공부도 하고, 현재 가장 핫한 산업에 대해 공유하고자 하니, 부족하더라도 시장동향을 파악하는데 참고하시면 될것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