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FAT와 SAT란 무엇일까?
    General 2022. 12. 5. 08:26
    728x90
    반응형
    반응형

    FAT

    FAT Factory Acceptance Test. 설비가 현장에 설치 되기 전인 제품이 출하 되기 장비를 제작한 공장에서 진행하며, 고객사에서 최초 구매사양서에 명시된 성능과 치수사항, 도장 모든 스펙에 만족되는지, 미비한 부분은 없는지 등을 사전에 점검하고 공장 출하전까지 보완 있도록 하는 시험입니다.

    FAT 필요성

    FAT 기본적으로 제작사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준비가 미비한 부분들을 즉각적으로 조치 있고, 그럼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될 있는 문제점과 보완점들을 사전에 방지 있다는 점에서 전체 프로젝트에서의 발생할 있는 요인들을 사전에 예방할 있습니다.  

     

    FAT 진행 과정

    경력이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은 당연하게 알고 계시는 부분들 이지만, 실무에 투입된지 얼마 되지 않은 우리 산업의 미래들을 위해 짧게나마 이야기하자면,

    FAT 일정 협의 -> FAT Procedure 준비 -> FAT -> Punch list -> 보완 -> 납품

    순으로 진행됩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Procedure 입니다. Procedure 어떤 항목을 어떤 기준으로 테스트 하겠다는 문서 입니다. 문서는 FAT 일정 미리 고객사에 송부하여 검토를 받고, 확인해야 부분이 있다면 사전에 업데이트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객사에 품질을 관장하는 부서가 있다면 FAT 품질 부서와 진행하며, 실제 장비를 사용할 고객사의 부서(설계나 연구소) 참관하는 형식으로 입회합니다. 또한 품질부서에서 별도로 Procedure 사전에 검토하는 미팅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SAT

    SAT Site Acceptance Test 현장설치 FAT에서 테스트가 불가했던 항목들에 대해 성능 점검을 하고, 전체 프로젝트에서 해당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에 대해 테스트 하는 것을 말합니다.

     

    SAT 목적

    예를 들어, 모터 FAT 한다 가정했을 무부하 운전은 가능하지만, 실제 축에 체결되어 부하 운전을 하기 힘든 경우 부하 운전은 SAT 진행합니다. 부하 상황에 따라 모터내부의 온도나 정격 전력등이 요구성능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있으므로 통합 시운전 전에 이러한 것들을 테스트 하여 통합 시운전 전에 보완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SAT 진행 과정

    SAT 또한 FAT 같은 방식으로 진행 됩니다. 방법은 동일하나, 검사항목에서 차이가 있을 있습니다. FAT에서 진행하지 못한 실제 부하운전이나 공장에서 구현할 없었던 실제 설치조건에서의 운전을 테스트하는것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검사항목은 좀더 세부적이고, 실제 설비에 맞도록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FAT/SAT Procedure 작성 방법

    FAT/SAT 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는 FAT/SAT Procedure입니다. 문서는 상술하였지만 언제, 어떤 검사를 어떻게 진행 하는지와, 최종적으로 Pass/Fail 나뉘어져 검사가 고객사의 품질부서에서 승인하였고 통과, 조건부 통과 같은 최종적으로 검사의 결과가 남는 문서이기 때문입니다.  

     

    Procedure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것이 좋습니다.

    • 표지

    어떤 프로젝트, 검사일시, 어떤 장비, 주관사, 입회사 등을 명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개요

    해당 프로젝트의 목적, 장비의 목적, 해당 테스트의 목적등을 명기하여 프로젝트와 무관한 품질부서에서도 장비의 사용목적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도면

    해당 장비의 외곽 도면과 전기 도면등을 첨부합니다.

     

    • 검사방법

    해당 장비 검사시에 사용할 장비와 방법등에 대해 기술합니다. 또한 해당 테스트에서의 허용치(Tolerance) 등은 합격 기준이 되니 기록해주어야 합니다.

     

    • 검사결과

    위의 검사 방법으로 해당 검사를 진행 한뒤, 최종적으로 계측된 수치를 기록하고 허용치 내의 결과값인지를 판단 , Pass/Fail등을 기록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