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인버터의 회생 기능 (Regeneration Function)Device/Drive 2025. 2. 14. 23:28
산업용 기계나 자동화 장비에서 인버터(Inverter)는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2022.11.15 - [Device/Motor] - 인버터(Inverter)란 ? 회생전력 이란 ? (Regeneration Energy) 인버터는 기본적으로 AC 전압을 DC전압으로 Converting 하여 모터를 회전시키는 장치 이고, 결국엔 모터의 회전운동을 위해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이죠 ? 그렇다면, 인버터가 출력을 보내지 않고 있는데 모터가 스스로 돌아 발전기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예를들어, 전동차가 굴러가고 있는 중에 출력을 보내지 않는 상태, 예를 들어 가속 패달을 떼고 있는 상태라면 전동차가 진행하는 방향으로의 관성으로 인해 모터가 돌아가게 되고, 모터는 이때 발전기가 되어버립니..
-
케이리그 2025 개막 D-8 ! 울산 HD FC 시즌권 구매Life/Trip 2025. 2. 7. 17:03
안녕하세요, 케이리그 축구 팬 여러분! 2025년 K리그 개막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 울산의 팬입니다. 제가 케이리그에 입문한지도 어느 덧 7~8년 정도 되어 가고있네요케이리그를 본 뒤로부터 그렇게 좋아하던 프리미어리그보다 케이리그를 챙겨보게 되었고그렇게 심장이 뛰었던 UEFA 챔피언스리그도 이제 AFC 챔피언스리그만 못하네요 저는 올해도 역시 울산의 시즌권을 구매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새 시즌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즌, 울산HD는 리그 3연패 우승, FA컵 준우승 이라는 호 성적을 거두며 K리그의 새로운 역사를 썼습니다.(이제 왕조로 인정을 해주는 분위기죠? ) 비록 축협의 감독 빼가기로 어수선한 시즌 중반 김판곤 감독님이 오셔서 다행히 리그 우승은 수성 할수 있었습니다만, 아쉬운 F..
-
ISA (International Society of Automation) 이란?Controls 2025. 1. 23. 18:21
개요PLC 엔지니어 특성상 FAT/SAT 등으로 인해 현장으로 외근이 잦습니다. 보전이나 공무팀의 경우 해당 설비를 안정적으로 돌아가게하기 위해 상주하시겠지만, 플랜트나 설비엔지니어의 경우 고객사 현장으로의 외근은 없을 수가 없죠.제가 현장에 나가보면 사실, 우리나라 PLC 엔지니어 특성상 전장/계장 일을 하시다가 PLC 를 배워 일을 하시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그래서 그런지 사실 시퀀스 회로로만 구성을 하고, 표준에 맞게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하는 경우가 굉장히 드뭅니다. ISA (International Society of Automation)는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글로벌 전문 기관 중 하나입니다. 1945년에 설립된 ISA는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
[Cotnrols] PackML Standard(표준) 이란?Controls 2024. 7. 5. 14:08
PackML 이란 ?PackML은 OMAC(The Organization for Machine Automation and Control)에서 개발하고 ISA(International Society Automation) 에서 ISA-TR88.00.02로 채택한 자동화 표준으로, 일관된 기계 데이터를 보다 쉽게 전송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ackML의 주요 목표는 공장 전체에서 공통된 "Look & Feel "을 장려하고 설비전체에 대한 공통된 사용자 환경을 구성하기 위함입니다. 기존의 PackML은 Packaging Machine, 즉 포장 기계를 대상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에는 식음료, Oil & Gas, Material, Mobility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표준으로 적용하여 사용중입니다. ..
-
[Controls] 평균데이터를 이용한 Analog 신호 Noise 처리 방법카테고리 없음 2024. 6. 21. 15:31
평균데이터를 이용한 신호처리계측기의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거나 제어해야 할 때, 이전 게시글에서 설명했듯 Noise로 인해 값이 튀는 현상들이 발생되고는 합니다. 2024.06.07 - [분류 전체보기] - [Controls] Analog 신호 Noise 처리 방법 (Signal Processing) [Controls] Analog 신호 Noise 처리 방법 (Signal Processing)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의 목적세상의 모든 종류의 물리량의 신호를 디지털 장치, 이를 테면 컴퓨터, 계측장치, 수집장치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방법이phoonyresearchnote.tistory.com 정교하게 설계된 Low pass filter, High p..
-
[Controls] Analog 신호 Noise 처리 방법 (Signal Processing)카테고리 없음 2024. 6. 7. 14:13
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의 목적세상의 모든 종류의 물리량의 신호를 디지털 장치, 이를 테면 컴퓨터, 계측장치, 수집장치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방법이 1차원적으로는 이루어져야 합니다. 2024.05.31 - [Controls] - [Control] 아날로그(4-20mA) 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A/D Converting) Analog 신호를 Digital 신호로 변환하였지만, 이렇게 변화하는 동안 전기적인 Noise나 물리적인 Noise로 인해 변환된 디지털 값에 영향을 미칠때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서 탱크의 레벨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환경은 아래 그림과 같을 겁니다. 초음파 센..
-
[Control] 아날로그(4-20mA) 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A/D Converting)Controls 2024. 5. 31. 14:16
Analog Signal 이란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이는 시간에 따라 부드럽게 변하는 값으로, 다양한 현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온도 : RTD/Thermocouple 등의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값을 전기신호로 출력유량 : 유체의 흐름량을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출력압력 : 압전센서에 가해지는 힘의양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출력레벨 : Tank의 수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출력이 밖에도 거리, 전압, 전류, 속도, RPM 등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그 수치를 제어부(PLC, Mi-com)에서 계측하고 제어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Analog Signal 이라 부를..
-
AC 인버터의 DC 링크/버스 전압이란 ?Device/Drive 2022. 12. 16. 16:25
AC 인버터는 일반적으로 3상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정류회로를 거쳐 DC 전압으로 만든 뒤 스위칭을 거쳐 전동기를 구동합니다. DC 버스 전압이란 ? 입력되는 380V 교류 전압은 먼저 3상 브릿지 정류회로를 거치며 정류되고 이 정류기의 DC 출력 전압을 DC 버스 전압 또는 DC 링크 전압 이라고 합니다. 이 전압은 커패시터에 의해 필터링 되고 피크 값은 538VDC 가 됩니다. 이 DC 버스 전압은 유도전동기의 구동을 위해 스위칭을 통해 주파수로 잘려지게 됩니다. DC 버스 전압 사용 이유 ? DC 버스는 입력 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와 부하인 모터의 전압 및 주파수 사이의 완충구간으로 사용 됩니다. DC 버스 전압을 모니터링 하는 이유 ? 낮은 입력 전압 또는 결상 감지 기능 인버터 스위치의 변조에서 ..
-
관리형 스위치 vs 비관리형 스위치 (Managed switch vs Unmanaged switch)General 2022. 12. 12. 23:46
네트워크 스위치란? 네트워크 스위치는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망 또는 LAN) 내의 장치를 연결하고 해당 장치 간에 데이터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비관리형 스위치 (Unmanaged Switch) 란? 스타 및 데이지 체인과 같은 단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사용 언매니지드 스위치는 단순히 LAN에 더많은 이더넷 포트를 생성하여 더 많은 로컬 장치가 인터넷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언매니지드 스위치는 장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 비관리형 스위치는 언제 사용 할까?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문제 해결을 할 수 없다. 아래의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는다. - Port Mirroring - Port Diagnostics - Forced Speed/Duplex - SNMP 관리형 스위치 (M..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조립공정Application 2022. 12. 12. 08:50
2022.12.07 - [Application]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전극 공정이란 쉽게 말해 Anode(+)과 Cathode(-)극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전극 공정은 원재료를 혼합하는 믹싱(mixing) 공정, 혼합된 슬러리(Slurry)를 포일에 도포하는 코팅(Coating)공정, 도포된 전극을 건 phoonyresearchnote.tistory.com 진공 건조까지 완료 된 Dau..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화성공정 (Cell Finishing)Application 2022. 12. 9. 13:23
2022.12.07 - [Application]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전극 공정이란 쉽게 말해 Anode(+)과 Cathode(-)극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전극 공정은 원재료를 혼합하는 믹싱(mixing) 공정, 혼합된 슬러리(Slurry)를 포일에 도포하는 코팅(Coating)공정, 도포된 전극을 건 phoonyresearchnote.tistory.com 2022.12.07 - [Ap..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Application 2022. 12. 7. 09:42
전극 공정이란 쉽게 말해 Anode(+)과 Cathode(-)극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전극 공정은 원재료를 혼합하는 믹싱(mixing) 공정, 혼합된 슬러리(Slurry)를 포일에 도포하는 코팅(Coating)공정, 도포된 전극을 건조하는 드라이(Drying)공정, 전극의 두께를 균일하게 맞춰주는 캘린더링(Calendaring)공정, 사이즈에 맞게 잘라주는 슬리팅(Slitting) 공정, 사이즈에 맞게 잘려져 롤에 감긴 전극을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는 진공건조(Vacuum Drying)공정 으로 진행됩니다. 믹싱공정 (Mixing) 믹싱공정은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데 필요한 각종 원자재들을 계량하여 혼합하는 과정입니다. 배터리 소재의 기초가 되는 활물질(Active material), 첨가제(Additives..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에 대해 (Lithium-Ion Battery Cell production process)Application 2022. 12. 6. 13:01
세계적인 탄소배출 감축 추세에 맞춰 자동차 시장도 기존의 내연기관에서 EV 자동차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심장이 엔진이었다면 EV 자동차의 심장은 아무래도 배터리라고 할 수 있겠죠. 결국 작은 크기로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것이 현재 배터리시장의 목표이고, 이와 더불어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배터리 제조사가 당면한 과제라 생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현재 EV 자동차 시장에서 주력으로 생각하는 리튬-이온 (Lithium- ION) 배터리 제조 공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배터리 제조 공정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공정은 크게 전극제조, 셀 조립, 셀 마무리 3가지 메인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전극제조 공정과, 셀 마무리 공정은 배터리 타입과 거의 무관하지만..
-
FAT와 SAT란 무엇일까?General 2022. 12. 5. 08:26
FAT FAT는 Factory Acceptance Test. 즉 설비가 현장에 설치 되기 전인 제품이 출하 되기 전 장비를 제작한 공장에서 진행하며, 고객사에서 최초 구매사양서에 명시된 성능과 치수사항, 도장 등 모든 스펙에 만족되는지, 미비한 부분은 없는지 등을 사전에 점검하고 공장 출하전까지 보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입니다. FAT의 필요성 FAT는 기본적으로 제작사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준비가 미비한 부분들을 즉각적으로 조치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보완점들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체 프로젝트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FAT 진행 과정 경력이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은 당연하게 알고 계시는 부분들 이지만, 실무에 투입된..
-
[#3 Encoder] 엔코더 분해능Device 2022. 12. 2. 08:34
안녕하세요. 오늘은 Decoding 된 Encoder의 Pulse를 어떻게 받아서 처리 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트 [#2 Encoder] Encoder의 신호처리 - 1 에서 실제 회전된 모터의 횟수가 어떤식으로 Counting 되는지 알아 봤는데요, 결국 출력되는 값은 Pulse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출력된 Pulse 값을 MCU의 Input port로 받아 처리 하던지, PLC의 경우 High speed count module 에 입력 신호로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겠죠. 신호처리를 하기에 앞서 먼저 X1, X2, X4 엔코더에서 출력된 신호가 어떻게, 몇번의 카운터로 입력될 것인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1.1 분해능 (Resolution) - 분해능이란, 일반..
-
[#2 Encoder] 엔코더 출력 신호 종류Device 2022. 12. 2. 08:32
안녕하세요. 오늘은 Encoder 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MCU나 PLC등에서 입력받아 신호처리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1 Decoding Type - 산업현장에서 주로 채배라는 말로 불립니다. - Decoding type이란 A,B상 펄스가 입력될 때 어떤 분해능(resolution)을 가지고 카운트 처리를 할 것인지를 결정 하게 됩니다. - Decoding type의 종류 : X1 : X2 : X4 1.2 X1 Encoder - X1 encoder가 입력 A, B에 연결되는 경우 입력 A와 B의 위상 관계로 카운트 방향을 파악합니다. : A가 먼저 Pulse가 발생하고 B가 발생할 경우 상승 카운트, : B가 먼저 Pulse가 발생하고 A가 발생할 경우 하강 카운트 1.3 X2 Encod..
-
[#1 Encoder] 엔코더 원리Device 2022. 12. 2. 08:30
안녕하세요. 얼마전 Winding 설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얻은 몇가지 Encoder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 Encoder 란 무엇인가 - Encoder란 주로 모터에 부착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장치로, 회전수를 측정하여 Pulse 타입으로 출력을 내주는 일종의 RPM 계측 장치입니다. 2. 원리 및 종류 2.1 Encoder의 측정 원리 - Encoder의 측정원리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회전 축이 돌아가면서 Encoder 내부의 Disc도 같이 돌아 가게 됩니다. Disc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져 있는데 이 뚫린 구멍으로 통과하면서 Pulse로 출력하게 됩니다. 2.2 Increamental Encoder의 원리 - Disc의 모양이 동일하게 되어..
-
나는 왜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지 않는가 ?Trend 2022. 11. 28. 00:16
요즘의 저는 5년된 디젤 SUV를 처분하고 차량 교체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세상이 급변하는 시기인 지금 과연 어떤차를 선택할지 정말 고민이 되고 있는데요. 유럽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의 자동차 신규등록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다고도 하는데, 이젠 정말 내연기관의 종말이 다가온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세인 전기차는 정말 1%의 가능성도 배제하고 오로지 내연기관자동차로만 고민을 했는데요 오늘은 제가 왜 전기차를 단 1%도 고려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전기차의 위험성 가끔씩 전기차 화재를 뉴스를 통해 접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가솔린/디젤 자동차의 화재사건도 접하시겠지만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그 화재의 본질이 조금은 다릅니다. 기름에 붙은 불..
-
Solid State Relay (SSR, 무접점 릴레이)Device/Mechanical 2022. 11. 23. 23:31
많은 산업현장에서 Electric Heater(전력 히터)를 사용합니다. 소재의 형질을 바꾸는 CPW설비나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프로세스 설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전력히터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제가 이제까지 봤던 설비들은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히터를 제어 하는데요, 별도의 온도 controller를 사용하거나, PLC의 PID제어를 이용하여 Digital Output 출력 제어, Analog Output 출력 제어 이렇게 세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각의 장단점이 있지만, 독릭접인 온도 Controller 같은 경우에 제어를 위한 설정값(Set point)을 각각의 온도 Controller에서 설정해줘야 하고, Controller에서 현재값(Process Value)를 확인해야만 합니다. 만..
-
기어(Gear)와 기어비(Gear Ratio) 란?Device/Mechanical 2022. 11. 21. 23:34
기어 사용 목적 기어비란 말 그대로 기어의 비율입니다. 모든 구동축이 있는 기계는 모두 기어가 들어가고 이 기어에 의해 속도와, 토크, 방향을 조절하거나 바꿀 수 있다. 기어의 종류 기어는 생긴 형상과 구동방식에 의해 몇가지로 나뉘게 된다. 스퍼기어 (Spur Gear) 헬리컬기어 (Helical Gear) 베벨기어 (Bevel Gear) 웜기어 (Worm Gear) 기어비(Gear Ratio)란? 기어비란 자전거부터 자동차, 로봇, 자동화설비 등 모든 구동설비에 없어서는 안되는 개념입니다. 기어비란 간단히 말하면 "입력축인 구동축의 1회 회전 당 출력축 회전 횟수" 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어비를 이용하여 구동축 대비하여 높은 속도나 높은 토크를 가질 수 있습니다. 기어비 특성 위에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