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화성공정 (Cell Finishing)Application 2022. 12. 9. 13:23728x90반응형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전극 공정이란 쉽게 말해 Anode(+)과 Cathode(-)극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전극 공정은 원재료를 혼합하는 믹싱(mixing) 공정, 혼합된 슬러리(Slurry)를 포일에 도포하는 코팅(Coating)공정, 도포된 전극을 건
phoonyresearchnote.tistory.com
2022.12.07 - [Application]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조립공정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조립공정
2022.12.07 - [Trend] -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
phoonyresearchnote.tistory.com
화성공정이라 불리는 Cell Finishing 공정은 전극공정, 조립공정을 거쳐 완성된 배터리에 전기적 특성을 부여하고, 결함 여부를 파악하는 마무리 공정입니다.
배터리 형태에 따라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크게 3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활성화 공정 (Formation)
활성화 공정이란 배터리 생산 후 첫번째 충전과 방전을 통해 배터리를 활성화하고 안정화를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활성화 공정을 위해 생산된 배터리들은 활성화 공정을 위한 장비에 안착되고, 전압,전류를 인가합니다. 이때의 전압 전류는 제조사마다 그 곡선이 다를 수 있고, 이 곡선은 배터리 성능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활성화 공정 시행중에 양 극의 흑연의 결정구조가 바뀌고 이 과정 중에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가 생성되어 전해액과 전극간의 인터페이스가 형성 됩니다.
에이징(Aging) 공정
이제 활성화 공정을 거쳐 배터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실제 고객에게 인도되기까지 이 배터리에 고온과 상온을 번갈아가며 충/방전을 하며 성능을 검증하는 과정을 에이징이라합니다. 최대 3주 동안 Open Circuit Voltage(OCV) 를 통해 셀의 특성과 성능을 모니터링합니다. 고온과 상온을 반복하며 배터리의 특성이 크게 변화가 없을때 고객에서 인도 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EOL Test
EOL(End Of Line) 테스트란 완성된 배터리가 공장 출하 전 마지막으로 진행하는 테스트입니다. 이 공정을 통해 배터리의 누액은 없는지, 성능상에 문제는 없는지 테스트 하며, 펄스 테스트, 내부 저항 측정, OCV Test, 기타 검사등을 수행합니다. 테스트가 끝난 후 많은 제조사들은 해당 배터리에 대한 특성과 성능에 대해 기록하고, 배터리는 완전충전/완전방전도 아닌 약 30~40%의 충전상태를 맞춘뒤 출하됩니다.
이렇게 약 3편에 걸쳐 리튬-이온 배터리의 생산공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요즘 EV자동차가 급성장하며 배터리시장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학생이든 현업에 계시는 실무자이든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공정에 대한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Appl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조립공정 (0) 2022.12.12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의 전극공정 (Lithium-Ion Battery cell electrode manufacturing of production process) (0) 2022.12.07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 공정에 대해 (Lithium-Ion Battery Cell production process) (0) 202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