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ransmitter-2] 트랜스미터의 입력 신호
    Device/Transmitter 2022. 5. 19. 00:4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트랜스미터에서 MCU 또는 PLC, INDICATOR 등에서 신호를 어떤식으로 받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트랜스미터의 출력 타입
    -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트랜스미터가 있지만, 대부분은 전압/전류 출력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고, Optioanl 하게 통신, 펄스 출력등을 지원 합니다.
    - 각각의 장단점이 있겠지만, 우선 저는 전류타입을 선호 합니다. 먼저 사용하기가 편하고, 전압같은 경우 원거리 트랜스미터에서 신호를 받을 경우 도체의 저항으로 인하여 거리에 따른 전압강하가 발생합니다. 

    1.1 전류출력
    - 주로 4-20mA, 0-20mA 전류출력으로 사용됩니다. 위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전류는 거리가 멀더라도 전류값이 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Noise에도 강한 편이라 여러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추후 세부적으로 정리하여 추가 포스트 하겠습니다.

    <출처 : https://engineerscommunity.com/>



    1.2 전압출력
    - 주로 -10V ~ +10V 전압 출력으로 사용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지만 전압의 경우 선간 길이에 따른 전압강하의 우려가 있어 원거리의 계측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는편입니다.

    <출처 : https://metromatics.com.au/high-voltage-output-on-a-process-transmitter/>



    1.3 통신출력
    - 주로 Serial 통신이 사용되고, 많은 third-party 제품들이 있기 때문에 프로토콜은 주로 modbus 프로토콜을 따릅니다. 아날로그 신호가 아닌 디지털 신호로 이루어지고, Differential type의 통신이기 때문에 noise에도 강합니다. 하지만, RS485통신은 100m 이내 거리를 통신하도록 recommend 하기 때문에 100m 보다 먼 거리의 통신에서는 품질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출처 : https://metromatics.com.au/high-voltage-output-on-a-process-transmitter/>

     

     

    1.4 기타출력
    - 이 외에도 Pulse 출력등 다양한 출력을 제공하지만, 일반적으로 전류/전압 출력 타입이 많이 사용됩니다.

    <출처 : https://www.pro-face.com/otasuke/files/manual/gpproex/new/refer/mergedProjects/logicio/logicio_ov_pls-2phase-lt.htm>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받은 Analog 입력 신호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